주식투자&스터디/주식기초 다지기

주식 투자주의·투자경고·투자위험종목, 관리종목/환기종목 대체 뭔데?

디지털노마드 주식스터디 2020. 3. 27.
반응형

| 주식 투자주의·투자경고·투자위험종목, 관리종목/환기종목 대체 뭔데?

기초 주식 투자자들은 이런 어려운 말들을 싫어하기 때문에 자세히 알려고도 안하고 그냥 무시하고 넘어간다.

사실 10년을 주식을 한 나도 경험상 거래량 폭발 매수세가 쏠리는 테마주의 경우 투자주의, 경고, 위험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급등하는 케이스들을 많이 받기 때문에 무시하지만 또 이것은 무시 해서는 안되는 시장의 경보이다.

 

 

쉽게 생각해서 쓰나미, 태풍, 코로나와 같은 재난 사고에도 주관처에서 이런 상황을 경보로 국민에게 알려주듯이 이러한 용어들은 주식 투자자들을 위한 투자 경보 메세지이다. 

 

주의에서 경고로 경고에서 위험으로 격상되는 투자 위험 단계를 말한다.

위험단계에서 매매거래정지가 되고 정기기간 동안 급반전이 일어난다면 거래정지가 풀리게 되는 그날 주가는 아무도 보장 할 수 없다.

 

 

| 투자주의/경고/위험 종목 살펴보기(dart, kind.krx)

 

아래 내용은 대한민국 대표 기업공시 채널 홈페이지 또는 기업공시 정보의 창 다트사이트에서 조회,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기업 공시채널 https://kind.krx.co.kr/http://dart.fss.or.kr/

 

+ 투자주의종목

투자주의종목이란 시장감시위원회는 투기적이거나 불공정거래의 개연성이 있는 종목을 투자주의종목으로 공표하여 일반 투자자들의 뇌동매매 방지 및 잠재적 불공정거래 행위자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하고있습니다.

 

소수지점 거래집중, 소수계좌 거래집중, 종가급변, 상한가 잔량 상위, 단일계좌 거래량 상위 등 불공정거래, 투기적거래의 개연성이 있는 종목들이 지정 대상입니다.

 
+ 투자경고종목

특정종목의 주가가 비정상적으로 급등한 경우 투자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키고 불공정거래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투자경고종목(과거 감리종목 또는 이상급등종목)으로 지정합니다.

이는 가수요를 억제하고 주가급등을 진정시키는 등 시장안정화를 위한 조치입니다.

 

셀트리온제약, 씨젠, 휴마시스, 골드퍼시픽, 멕아이씨에스, 휴벡셀, 랩지노믹스, 이에스브이, 진매트릭스, 젠텍, 국동, 하나니켈1호 종목을 살펴보면 코로나로 사회적 이슈가 되어 진단키트, 인공호흡기, 백신개발 업체 그리고 최대주주변경 매각 등과 같은 기업적 이슈로 급등한 케이스입니다.
 
 

+ 투자위험종목

 

투자경고종목 지정에도 불구하고 투기적인 가수요 및 뇌동매매가 진정되지 않고 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경우 투자위험종목으로 지정합니다. 

이는 한차원 높은 시장경보로서 투자자들은 해당종목 투자시 보다 깊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투자위험종목 지정 후 주가가 추가로 급등하여 매매거래가 정지되는 경우 매매거래 재개일에 투자위험종목에서 해제됨과 동시에 다시 지정됩니다.

여기서 또 한가지 알아야 할 것이, 단기과열이나 투자위험 종목으로 지정되면 동시호가 거래로 매매를 하게 되는데, 동시호가는 주가 가격을 안정, 급등·급락 완화 시키는 장치라고 보면 됩니다.

 

+ 동시호가매매(단일가매매)를 적용하는 경우

 

1. 장시작 전 08:30 ~ 09:00 사이의 주문

2. 장마감 전 15:20 ~ 15:30 사이의 주문

3. 시간외단일가매매 16:00 ~ 18:00 사이의 주문

4. 급격한 주가변동으로 인해 서킷브레이커, 변동성완화장치(V.I) 등이 발동된 경우

5. 단기과열종목, 투자위험종목 등으로 지정된 종목이 단일가매매 조건에 도달한 경우

6. 상장폐지 전 정리매매

 

 

| 환기종목/ 관리종목

+ 환기종목

관리종목과 중복된 종목을 제외하곤 해당 종목에 주홍글씨만 박을 뿐 투자자가 거래에 불편함을 느낄만한 규제는 없다.

매매거래도 정상적으로 이뤄진다. 거래소는 투자자에게 좀더 투자에 신중함을 보이라는 메시지만 전달하자는 의도다.

 

환기종목은 관리종목의 명확한 기준과는 달리 41가지 변수를 고려해 선정된다. 

시가총액, 부채비율, 자본잠식 여부 등 양적 변수와 공시위반, 대표이사 변경, 회계기준 위반 등 좋지 않은 꼬리표가 붙기 때문에 투자자들에게는 좋지 않은 종목들로 인식이 박혀버린다.

 

+ 관리종목

상장사가 갖춰야 할 최소한의 유동성도 없거나 영업실적 악화 등의 사유로 부실이 심화된 종목이다. 

거래소는 사업보고서나 분기보고서 미제출, 자본잠식, 공시의무 위반 등 거래소 상장규정에 나온 기준에 따라 관리종목을 지정한다.

 

관리종목으로 지정되면 일정기간 매매거래가 정지된다. 거래가 제개되더라도 30분 단위의 단일가 매매가 적용돼 투자자로선 거래의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주식의 신용거래도 금지되고, 해당 주식을 통한 담보대출이나 공매도도 금지된다.

 

 

올해 2020년 3월 발생한 관리종목 사유들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장폐지사유 발생

아리온, 이에스에이, 팍스넷, 한국코퍼레이션, 에이치엔티, 지스마트글로벌, 스타모빌리티, 에스엔텍비엠, 코너스톤네트웍스, 샘코

메디앙스, 에이프런티어, 코나아이, 포티스

 

최근 4사업연도 연속 영업손실 발생

제이웨이, 에스모 머티리얼즈, 에스앤더블류, 파나진, 픽셀플러스

 

최근3사업연도중 2사업연도 자기자본 50%초과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발생

엔시트론, 크루셜텍, 조이맥스, 필로시스헬스케어

 

자본잠식(자본금의 50/100이상 잠식)

청호컴넷

 

 

+ 불성실공시 (공시불이행, 공시번복, 공시변경)

기업 정보를 틀리게 공시하거나 거짓 공시하는 등 공시의무를 성실히 이행하지 않는 것으로 공시를 신고기한까지 이행하지 않는 공시불이행, 이미 공시한 내용을 전면 취소하거나 부인하는 공시번복, 기존 공시내용을 일정비율이상 변경하는 공시변동이 있습니다.

이 또한 착한기업은 아니니 상장폐지의 위험이 도사리는 종목 입니다. 

 

+ 매매거래정지

특정종목의 거래내용에 현저한 불공정성이 우려되거나, 매매거래 폭주로 신속하게 매매거래를 성립시킬 수 없는 경우, 거래정지 기준에 해당하거나 주가조작, 부당한 방법으로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 해당 종목의 거래를 일정기간 정지시키는 제도입니다.

 

주권 상장법인이나 상장유가증권이 불성실공시 또는 시황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공시사항 및 기타 이에 준하는 사항이 발생할 경우 공익과 투자자 보호 및 시장관리를 위하여 거래소가 유가증권시장에서 당해 법인이 발행한 유가증권의 매매거래를 정지·중단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투자자의 투자판단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공시사항의 공시시 또는 기타 중요한 사항의 발생시동 정보가 투자자 모두에게 공평하게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완전경쟁을 통한 공정한 주가형성을 도모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주식매매기법 - 이동평균선의 의미와 주식매매를 위한 이평선 분석방법

 

주식매매기법 - 이동평균선의 의미와 주식매매를 위한 이평선 분석방법

지금까지 주식거래의 기초에 대해 알아보았다면 이제는 실전에서 사용할 매매기법을 배우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2018/11/19 - [prepare for TMR/주식기초 다지기] - 주식투자전략 기본, 조엘

preparefortmr.tistory.com

주식 매매기법-주식초보,주알못도 쉽게 따라하는 5일선 매매기법

 

주식 매매기법-주식초보,주알못도 쉽게 따라하는 5일선 매매기법

우선은 5일선 매매기법에 앞서 주식초보, 주식을 전혀 알지못하는 주알못님들을 위해 쉽게 설명하긴 하겠지만서도 아래의 기본적인 지식은 습득 하는것이 이후 포스팅을 이해하기에 좋을 듯하

preparefortmr.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