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에 이어 마켓컬리에서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두 곳을 애용하는 소비자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
물류센터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두 달여만에 70명 후반대를 기록, 2차 확산에 대한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서울 송파 마켓컬리 물류센터와 1600명이 근무하는 경기 부천의 대형 콜센터, 쿠팡 고양 물류센터에서도 확진자가 나오는 등 물류센터발 감염이 주변으로 급속도로 퍼지는 양상이다.
| 쿠팡 고양 물류센터 폐쇄, 마켓컬리 확진자 확산, 급성장하는 롯데마트 바로배송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28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79명으로 늘었으며, 신규 확진자가 70명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달 5일(81명) 이후 53일 만이다.
또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에서 생활 속 거리두기로 전환하면서 제시한 목표 중 하나인 일일 신규 환자 50명(미만)을 넘어선 것은 지난달 8일(53명) 이후 처음이다.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 22∼24일 사흘간 20명대를 보이다가 25∼26일 이틀간은 10명대로 떨어졌으나 전날 쿠팡물류센터 근무자를 중심으로 확진자가 추가되면서 40명으로 늘었고, 하루 만에 배로 늘었다. 이날 오전까지 부천 물류센터 관련 확진자는 총 69명으로 확인됐다.
해외접촉 관련 274명, 이태원클럽관련 131명, 구로구 콜센터관련 98명, 부천시 쿠팡관련 69명, 구로구 교회관련 41명, 동대문구 PC방관련 28명 등으로 서울, 경기 수도권 확산세가 무서울 정도로 올라오고 있다.
쿠팡 고양 물류센터는 무더기 감염이 이뤄진 부천 물류센터와 마찬가지로 허브(HUB) 역할을 하는 대형 물류센터다.
특히, 물류센터발 확진자는 아르바이트생 등 접촉자만 약 4000여명에 달하고 인근에 1400명이 근무하는 콜센터까지 확진자가 나오는 등 ‘N차 감염 확산’이 쿠팡 물류센터를 통해 더욱 증폭되는 모습이다.
이에 이재명 경기지사는 경기도청에서 온라인 기자회견을 갖고 부천 쿠팡 부천 신선물류센터 제2공장을 중심으로 지역감염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며 쿠팡 고양 물류센터 폐쇄, 28일부터 2주간 집합금지 행정명령 조치를 내렸다.
부천센터 측이 이를 위반할 경우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80조 제7호에 따라 300만원 이하 벌금 등 처벌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서울 송파구 마켓컬리 물류센터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감염이 발생하면서 택배 등 물류를 통한 코로나 전파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국 국립보건원(NIH)와 질병통제예방센터(CDC), 프린스턴대 등의 공동연구에 따르면 코로나 바이러스는 종이보드(골판지)에서 24시간, 플라스틱과 스테인리스 등에서는 2~3일, 구리 표면에서 4시간쯤 생존한다.
대부분 종이인 택배 상자 위에서 코로나는 하루 동안 남아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밝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핵심으로 꼽히는 배달을 통한 소비 생활에도 차질이 생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 두가지 신선식품 배송 서비스 중단이 예상 됨에 따라 대안으로 롯데마트 바로배송, 새벽배송이 거론되고 있다.
롯데쇼핑의 핵심 성장 동력인 롯데온이 지난달 27일 출범한 이후 바로 배송, 새벽배송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정착해나가고 있다.
롯데온은 롯데백화점ㆍ롯데마트ㆍ롯데슈퍼ㆍ롯데닷컴ㆍ롯데홈쇼핑ㆍ하이마트ㆍ롭스 등 롯데그룹 7개 계열사를 한데 모은 온라인 쇼핑 통합 플랫폼이다.
2만원 이상 구매시 바로배송을 해준다고 하니 그것도 23시까지 롯데마트몰로 당장 달려가야겠다.
배민 배달의민족, 배달통, 요기요 음식 배달비도 아까웠는데 그냥 식재료 사다가 집에서 건강하게 해먹자.
롯데온 어플을 설치 안할 수가 없잖아. 일단 설치하고 바로배송 주문주문 2시간만에 배달이 온다고 하니 나중에 시간체크 해봐야지.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lotte
롯데마트는 바로 배송 서비스를 확대해 연내 16개점을 추가하고, 2021년에는 43개점까지 수를 늘려 운영할 계획이다.
김포 온라인전용센터를 활용해 배송 가능 지역인 서울 서남부 지역에서 서비스를 시작해 오는 10월까지 경기남부지역과 부산지역까지 영역을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롯데는 스마트 스토어(smart store)와 다크 스토어(dark store) 전략도 실험하고 있는데 스마트 스토어는 중계점·광교점처럼 매장 내부에서 판매하는 제품을 즉시 배송하는 시스템을 구축한 점포를 말하고, 다크 스토어는 제품을 진열한 매장 안에서는 보이진 않지만, 매장 후방에 제품을 포장하는 자동화 설비를 갖춘 점포다.
우리가 늘 끌고 다니던 카트에 키오스크 단말기가 딱 하니 설치되어 있어서 물건을 바로 바코드에 인식시켜 바로 결제 한 후 바로배송 존에 두고 온다면 된다는데 진짜 이것은 유토업계의 혁명이다.
이런 스마트 점포를 연내 2개의 점포에 추가로 스마트 스토어 시스템을 구축하고, 2021년까지 이를 12개로 늘린다.
다크 스토어는 연내 14개로 확대한 뒤 2021년까지 29개로 확장하는 것이 목표다.
하루 빨리 우리집 롯데마트도 이렇게 바뀌었으면 좋겠다. 롯데를 믿고 가보자.
'주식투자&스터디 > 장전이슈와 주도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전환지표 및 방역수칙 단계별 조치내용 (0) | 2020.06.29 |
---|---|
2023년 주식투자자 양도소득세 부과, 증권거래세 0.1% 인하 전면 폐지 수순 (0) | 2020.06.25 |
발렌시아가·보테가베네타·생로랑·발렌티노, 에스아이빌리지 50%할인 판매 (0) | 2020.06.02 |
7년만에 최대 청약, 장기전세·국민임대 주택 고덕강일,위례지구 공급 (0) | 2020.05.28 |
21일 중국양회 후 중국소비주, 한한령해제 완화 기대(화장품,엔터,콘텐츠) (0) | 2020.05.20 |
20대국회본의 N번방 방지법·전자서명법 통과, 21대 첫 국회의장 박병석 (0) | 2020.05.20 |
댓글